김유정문학상은 한국현대문학사에서 가장 개성 있는 작가로 검증된, 춘천 출신 작가 김유정의 생애와 작품 세계를 높이 기리기 위하여 제정하였으며, 현재 한국 문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의 우수작품을 선정 시상함으로써 한국 문단의 창작 활성화 및 향토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유정문학상’은 1990년 월간 <동서문학>에서 제정하여 3회까지 시상한 후, 중단되었던 것을 김유정문학촌에서 한국수력원자력(주)한강수력본부의 후원을 얻어 2007년 다시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김유정문학촌은 김유정 선생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데 토대가 되는 김유정 작품 연구의 새로운 기틀을 마련하기 2021년부터 김유정학회의 주관 하에 새로이 ‘김유정학술상’을 제정합니다. 2020년에는 평생 김유정 연구에 온 정열을 바치신 고 전신재 선생님께 ‘김유정 학술상 제정기념 특별상’을 시상하였습니다.
토착적 언어와 해학으로 한국 단편소설문학의 금자탑을 세운 김유정.
그의 문학혼을 기리기 위하여 강원도민일보사와 김유정문학촌은 매년 김유정 소설문학상 공모를 통하여 역량 있는 신예작가를 발굴해왔습니다. 2012년부터는 ‘김유정 소설문학상’을 ‘김유정 신인문학상’으로 확대, 개편하고, 소설에 국한돼 있던 기존의 공모부문을 시와 동화로 확대해 작품을 공모합니다.
회차 | 년도 | 수상자 | 수상작 | |
---|---|---|---|---|
1 | 1995 | 박계순 | 말의 수수께끼 | |
2 | 1996 | 이현수 | 거미집 | |
3 | 1997 | 박병례 | 엄마와 쭈꾸미 | |
4 | 1998 | 이익훈 | 오믈렛 | |
5 | 1999 | 홍구보 | 선녀와 나무꾼 | |
6 | 2000 | 조기은 | 물결무늬 | |
7 | 2001 | 채종인 | 낙천댁 | |
8 | 2002 | 여귀숙 | 앞치마를 만드는 동안 | |
9 | 2003 | 이목연 | 달개비 | |
10 | 2004 | 홍양순 | 자두 | |
11 | 2005 | 김서련 | 바이러스 | |
12 | 2006 | 장소연 | 백야를 향하여 | |
13 | 2007 | 최미경 | 토큰 | |
14 | 2008 | 이재숙 | 하바로프스크에는 비가 내린다 | |
15 | 2009 | 이수영 | 우리들이 살아가는 타당한 이유 | |
16 | 2010 | 한숙현 | 크로스 컷 | |
17 | 2011 | 홍이레 | 구멍 | |
18 | 2012 | 소설 | 최해수 | 코엑스 시계는 분침이 없다 |
시 | 서귀옥 | 지렁이를 알아가다 | ||
동화 | 강미진 | 하늘이만 아는 비밀 | ||
19 | 2013 | 소설 | 김이수 | 위대한 유산 |
시 | 이병철 | 유혈목이의 책장 | ||
동화 | 정유담 | 고양이탐정 | ||
20 | 2014 | 소설 | 최지송 | 온에어 |
시 | 최윤정 | 닐손의 장어 | ||
동화 | 정보리 | 별빛 | ||
21 | 2015 | 소설 | 이루다 | 미루나무 등대 |
시 | 김상현 | 거품인생 | ||
동화 | 김나은 | 나무피리 | ||
22 | 2016 | 소설 | 추승현 | 벡터 |
시 | 어향숙 | 고물상의 봄 | ||
동화 | 김현례 | 께끼 도깨비 | ||
23 | 2017 | 소설 | 최나하 | 에덴의 음성 |
시 | 안광숙 | 감자의 둥지 | ||
동화 | 박그루 | 마법 샴푸 | ||
24 | 2018 | 소설 | 정지윤 | 판타스틱 엘라 |
시 | 지이산 | 뭐라도 될 줄 알았다 | ||
동화 | 신전향 | 딱풀마녀 | ||
25 | 2019 | 소설 | 이수안 | 정성을 다하는 생활 |
시 | - | - | ||
동화 | 정선옥 | 무지개를 뽑는 아이 | ||
26 | 2020 | 소설 | 강혜림 | 나의 레인보우 샤크 |
시 | 강나무 | 뜨개질을 해요 | ||
동화 | 이수진 | 쉿, 천천히 가는 중입니다 |
김유정 무른문학상은 한국의 영원한 청년작가 김유정 선생의 문학정신을 기리고 장차 한국문학을 이끌어갈 미래의 청년작가를 지원하기 위해 소설 부문에만 ‘ 중고등부’와 ‘대학부’로 나누어 작품을 공모합니다. 가장 빛나고 푸르른 시절에 문학의 세계에서 홀로 꿈을 키우고 있는 청년들의 외롭지만 푸른 열정에 김유정문학촌이 함께 합니다.
대학부 | 중·고등부 | ||||
---|---|---|---|---|---|
대상 | 이승현(중앙대) | 우주 쓰레기와 그들이 표류하는 궤도 | 대상 | 조면정(안양예고) | 아마도, 아마도 |
우수상 | 이성후(성신여대) | 도요새가 여기에 있으므로 | 우수상 | 조민성(인천 청라고) | 붉음의 출처 |
최성연(단국대) | 고백할게 | 김소정(혜원여고) | 뻐꾸기 부모 | ||
이성아(연세대) | 요상한 하루 | 김나현(안양예고) | 끝없는 여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