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의 귀환
[책소개]『김유정의 귀환』은 김유정문학의 새로읽기와 재생산을 돕는 책이다. 2008년 김유정 탄생 100주년을 맞는 행사에서 시작된 연구의 소산으로, 김유정 문학 의미의 다양화와 새로운 모습으로 재생산하는 방법 등을 고찰하는 글들로 채워져 있다. 김유정 소설이 교과서 정전으로 갖고 있는 위상을 이야기하는 김동환 교수의 <교과서 속의 이야기꾼, 김유정>, 스토리텔링적 접근을 시도하는 전신재ㆍ표정옥ㆍ이상진 교수의 글 등을 수록하였다.[저자소개]저자 : 김유정학회김동환(金東煥 kim, Dongwhan) 한성대학교 교수김화경(金和敬 Kim, Hwakyung) 국민대학교 강사연남경(延南京 Yeon, Nam kyung)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및 서울대학교 박사후연구원이상진(李相眞 Lee, Sangji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전봉관(全峯寬 Jun, Bonggwan) 카이스트대학교 교수전신재(全信宰 Jeon, Shinjae) 한림대학교 명예교수조남현(曺南鉉 Cho, Namhyon) 서울대학교 교수최성윤(崔城崙 Choi, Sungyun) 동덕여자대학교, 순천향대학교, 광운대학교 정보과학교육원 강사표정옥(表正玉 Pyo, Jungok) 숙명여자대학교 교수한상무(韓相武 Han, Sangmoo) 강원대학교 명예교수홍혜원(洪慧媛 Hong, Hyeweon) 충남대학교 교수박정규(朴丁奎 Park, jungkyu)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명예교수 [목차]책머리에제1부 이야기꾼 김유정조남현 _ 김유정 소설과 동시대소설1. 김유정 소설의 세 갈래2. 동시대 농촌소설의 맥락 속에서3. 동시대 도시배경소설의 맥락 속에서김동환 _ 교과서 속의 이야기꾼, 김유정1. 논의의 출발2. 김유정 소설의 정전사(正典史)적 검토3. 김유정 소설에 대한 교과서 내 접근 양상4. 학회에 대한 제언연남경 _ 김유정 소설의 추리 서사적 기법 연구1. 들어가며2. 결말 구조와 해석적 코드의 활성화3. 지연의 발생과 긴장의 묘미4. 서사의 재구성과 내적 진실의 탐구5. 맺는말홍혜원 _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폭력의 구조와진실1. 들어가는 말2. 자전소설과 폭력의 기원3. 대상의 결여와 소설적 진실4. 나가는 말한상무 _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부부 윤리1. 머리말2. 부부 윤리의 두 범주3. 맺음말최성윤 _ 김유정 소설의 여성 인물과 ‘貞操’1. 서론2. ‘아내’로서의 여성 인물을 통해 보는 ‘생존의 논리’와 ‘생활의 윤리’3. ‘어머니’로서의 여성 인물을 통해 보는 전망 부재의 실체4. 결론전봉관 _ 김유정의 금광 체험과 금광 소설1. 금광쟁이 뒷잽이2. 황금광시대 농촌 현실 풍자-「금따는 콩밧」3. 황금의 유혹과 앞에 허물어지는 인간성 비판-「노다지」ㆍ「금」김화경 _ 김유정 문학의 근대 자본주의 경험과 재현 양상1. 서론2. 자본주의 물신사상의 희화화3. ‘황금’과 ‘똥’의 거리4. 결론제2부 김유정의 이야기꾼전신재 _ 김유정 소설의 설화적 성격1. 머리말2. 진술 방식3. 소재4. 맺음말표정옥 _ 현대문화와 소통하는 김유정 문학의 놀이 상상력1. 들어가며2. 게임과 영상시대로 소통하는 김유정 서사의 놀이성3. 신화의 시대와 소통하는 김유정 인물의 신화성과 놀이성4. 비언어 텍스트와 소통하는 김유정 문학의 열린 상상력5. 나오며이상진 _ 문화콘텐츠 ‘김유정’, 다시 이야기하기1. 김유정 문학의 콘텐츠 가치2. 문화콘텐츠 ‘김유정’의 현재3. ‘김유정’의 OSMU, 확장과 융합4. ‘김유정’ 스토리텔링의 거점콘텐츠-캐릭터 목록5. 제언과 남는 문제 280제3부 김유정 작품의 문화 콘텐츠박정규 단편소설 「봄ㆍ봄ㆍ봄」 단편소설 「봄ㆍ봄ㆍ봄」 집필에 관련하여 덧붙이는 말 출판사 : 소명출판 |출판일 : 2012.03.30형태 : 판형 A5 , 페이지 수 309